독서노트/인문학5 존 스튜어트 밀 『자유론』 제5장 적용 자유의 원칙과 국가 권한의 정당한 범위밀은 자유의 원칙이 현실 정치와 제도 속에서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지를 제5장에서 다룬다. 그는 모든 개인은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한, 자신의 삶을 자신의 방식대로 살아갈 권리가 있다고 전제하며, 이 원칙이 실질적으로 어떻게 법과 정책에 반영되어야 할지를 설명한다. 국가는 개인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존재해야 하며, 자유를 억압하는 도구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 그의 핵심 주장이다.도덕적 규제의 위선과 위험밀은 특히 사회가 ‘도덕’이라는 이름으로 개인의 선택과 생활방식에 간섭하는 것을 강하게 비판한다. 그는 타인의 동의 없이 강제된 도덕은 위선적이며 억압적일 뿐만 아니라, 인간 개성의 발현과 사회의 진보를 방해한다고 본다. 사회적 비난이나 명분 없는 .. 2025. 4. 23. 존 스튜어트 밀 『자유론』 제4장 사회가 개인에 대해 가지는 권한의 한계 개인의 삶에서 어디까지가 개인의 영역이고 어디부터가 사회의 영역인지를 구분하는 기준은, 그 부분이 개인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가 아니면 사회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가에 달려 있다. 사회는 계약에 의해 만들어진 것은 아니지만, 사회의 보호를 받는 사람은 그에 상응하는 의무를 지며,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이상 타인을 위해 일정한 행위 규범을 지켜야 할 필요가 있다. 자유를 위한 행동의 원칙개인은 자신의 행동이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한, 자신의 삶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그 결과에 책임질 권리가 있다. 사회는 구성원들이 서로에게 해를 끼치지 않도록 일반적인 규범을 정하고, 그 규범에 어긋난 경우 법이나 여론을 통해 개입할 수 있지만, 개인의 행동이 오직 자기 자신에게만 영향을 미친다면 사회가 개입해서는.. 2025. 4. 23. 존 스튜어트 밀 『자유론』 제3장 인류의 복리를 위해 필요한 개성 오늘날 우리는 모든 사람이 비슷해지는 사회 속에 살고 있다. 같은 책을 읽고, 같은 뉴스를 보고, 같은 것을 욕망하며 살아간다. 겉보기엔 공정하고 편리해졌지만, 철학자 존 스튜어트 밀은 여기서 무서운 미래를 본다. 바로 ‘개성의 말살’이다.밀은 『자유론』 3장에서 인간의 자유와 개성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한다. 단지 억압에서 벗어나 자유를 얻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방식으로 삶을 살아가는 자유, 즉 개성의 실현이야말로 인간 발전의 핵심이고 결국 인류 전체에게 이익을 가져다 준다."인간이 불완전한 동안에는 서로 다른 다양한 삶의 실험들이 존재하는 것이 유익하다.""자신의 행동으로 인한 모든 결과를 감수하는 한, 사람은 자신의 의견을 삶 속에서 실현할 자유가 있어야 한다." 인간은 기계가 아니라, 내면의 힘.. 2025. 4. 22. 존 스튜어트 밀 『자유론』 제2장 사상과 토론의 자유 존 스튜어트 밀의 『자유론』 제2장에서는 인간의 사상과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토론할 수 있는 권리가 다른 모든 정신적 복리의 기초가 된다는 주장을 전개합니다. 이 장에서는 사상의 자유가 왜 중요한지, 다양한 의견이 어떻게 진리를 향한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설명합니다.의견의 자유와 진리의 발견밀은 모든 의견에는 숨겨진 진리가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어떤 의견이 틀리다고 판단하여 그것을 억압하면, 그 의견에 숨겨진 진리를 발견할 기회를 잃게 됩니다. 반대로, 의견이 틀릴 경우에도 그 의견과의 충돌을 통해 진리를 더욱 명확히 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칩니다. 이는 진리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원칙입니다."우리가 어떤 의견을 틀리다고 생각해서 침묵을 강요하는 경우에도, 그 의견은 우리가 알지 못.. 2025. 4. 22. 존 스튜어트 밀 『자유론』 제1장 서론 “우리의 이익을 우리 자신의 방식으로 추구할 수 있는 자유만이 진짜 자유다”“자유란 무엇인가?” 이 오래된 질문을 다시 꺼내어 묻는 것은 단순한 회고가 아니다. 이는 오늘날의 사회와 민주주의를 구성하는 핵심 원리이기 때문이다. 19세기 영국의 철학자 존 스튜어트 밀(John Stuart Mill)은 그의 대표작 『자유론(On Liberty)』에서 자유의 의미를 치열하게 사유한다. 특히 제1장 ‘서론’은 자유에 대한 철학적·정치적 기초를 탄탄히 다지며, 자유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명료하게 제시한다.개인의 자유, 그 ‘고유한 영역’은 어디까지인가밀은 인간이 절대적으로 보장받아야 할 자유의 영역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눈다. 첫째는 사상의 자유, 곧 생각하고 표현할 수 있는 권리다. 그는 “사상의 자유와 표현의 .. 2025. 4. 21. 이전 1 다음